노령견 돌봄.
노령견과 질병관리 : 신장관리 II (병원치료 이해하기)
신장질환에 걸리지 않았다면 이 부분을 이해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신장질환에 걸렸다면 수의사들과 원활한 대화를 통해서 최소한 아래의 이야기 정도는 알아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장질환은 보통 4단계로 나눠서 이야기를 합니다.
일반적인 혈액검사에서 크레아티닌의 정상으로 인정되는 값의 범위가 0.4~1.8 (혹은 그 이상이기도 합니다.)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혈액검사로는 정상이라고 해도 신장질환이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용어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질소혈증이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영양소가 여러 가지가 필요하지만, 그중 대표적인 것이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인데, 탄수화물을 태우면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뀌기 때문에 사실 신장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지방은 인지질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탄수화물과 거의 유사합니다. 하지만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안에 구조적으로 질소를 포함합니다. 이 질소는 소변으로 배출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질소 폐기물의 배출은 신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입니다. 이러한 질소가 배출되지 않으면 혈중에 질소 폐기물이 축적될 것이고 이러한 질소노폐물을 하나 하나 말하지 않고 전체를 통틀어서 언급하는 것이 질소혈증이라는 용어입니다. 참고로 일부는 질산혈증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잘못된 용어입니다.
신장질환은 일단 크레아티닌을 측정한 다음에는 다시 세분해서 단백뇨와 혈압을 측정하여 단계를 다시 나눕니다.
그 다음은 혈압을 측정해서 또 구분합니다.
신장질병에 대한 평가가 끝났으면 그 다음은 혈액의 인의 농도를 조절하게 됩니다. 만약 인의 농도가 높으면 특히 갑상선 호르몬이 항진됩니다. 인의 조절 목표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P)의 조절제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인과 결합하여 침전을 만드는 알루미늄이나, 칼슘을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란탄계열의 염을 사용합니다.
신장질환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들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출혈
혈중 bicarbonate 농도
혈중 칼륨 농도
요로 감염 여부
애매한 것
나이
체중
혈중 알부민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
UPC 가 높음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음
혈중 인 수치가 높음
혈중 Urea 수치가 높음
혈중 백혈구 수치가 높음
빈혈
신장질환과 갑상선 호르몬

또한 신장에서는 조혈인자가 만들어지는 곳이라서 만성신부전에 걸리면 상당히 많은 경우에 빈혈이 발생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EPO와 DPO라는 조혈인자를 주사해서 치료합니다.
대사성 산증 (metabolic acidosis)
혈액의 pH는 신장과 폐의 호흡도 영향을 주지만 주로 신장에서 조절하기 때문에, 칼륨 부과 동반해서 혈액의 pH가 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pH가 낮아지면 체내의 대사가 흔들리기 때문에 특히 영양실조에 이르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각합니다. 혈액의 pH가 주로 bicarbonate를 이용해서 조절되므로 sodium bicarbonate나 구연산 칼륨을 이용해서 치료합니다.
단백뇨와 만성신부전
단백뇨가 있으면 만성신부전의 예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성신부전의 예후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하면 반려동물이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언젠가는 안락사를 결정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미리 예후에 대해서 알아 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많은 고양이들이 완전히 말기로 진입하기 전에 사망하기도 합니다.
만성신부전 치료의 증거능력
최고 수준의 증거 (Grade I)
-
신장처벙식(3기와 4기)
-
칼시트리올 치료 (만성 신장질환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높을 때,)
중간 수준의 증거 (Grade II)
-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처방식 사료
Grade III
-
유전자재조합 EPO (CKD에 빈혈이 있을 경우)
-
식이 인 억제 (3,4기)
-
오메가-3 처방(3,4기)
-
항산화제 처방 (2,3기)
Grade IV
-
수액처치
-
ACEi
-
고혈압치료
-
소변의 pH를 높여줌
-
강제 급이
-
처방식 (1,2기 강아지)
출처 : Roudebush, P., Polzin, D. J., Adams, L. G., Towell, T. L. & Forrester, S. D. An evidence-based review of therapies for canine chronic kidney disease. The Journal of small animal practice 51, 244–52 (2010).
신장질환에 주로 사용되는 제품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보조제등은 수의사와 상의를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여기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지만, 만성신부전을 치료하는 가족분들은 수의사와 상담하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 의약품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일부 정리합니다.